2014년 12월 3일 수요일

2. 님프와 사티로스, 그리고 분리불안

[그림 1] 님프(Nymph)와 사티로스(Satyrs), 부그로 작, Sterling and Francine Clark Art Institute

위 그림은 님프와 사티로스라는 그림입니다. 

그리스 신화에서 님프들은 춤과 노래를 좋아합니다. 음악이 있는 곳에 모여서 춤도 추고 노래도 하면서 지냅니다. 그런데 님프들은 순결을 목숨같이 지켜야 하는 규칙이 있었습니다. 만일 자기 의사와 상관없이 겁탈을 당했다고 하더라도, 순결을 잃으면 님프들은 화살을 받아야 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님프들은 춤과 노래를 하다가도 남자가 나타나면 도망쳐야 했습니다. 

사티로스들은 상체는 인간, 하체는 짐승의 형태인 반인반수입니다. 한 사티로스가 님프를 겁탈하려고 님프의 숙소에 침범했습니다. 님프들은 이를 발견하고 사티로스를 혼내주었습니다. 

위 그림은 님프들이 사티로스를 혼내주는 장면을 그리고 있습니다. 4명의 님프 중 한 명만 얼굴이 보입니다. 현대의 기준으로 봐도 청순하고 아름다운 여인의 얼굴입니다. 어쩌면 이 님프의 얼굴은 화가가 사랑하던 여인의 얼굴이 아니었을까 싶습니다. 

이 그림은 미국 메사츄세츠 주의 세인트 윌리암스타운이라는 곳에 위치한 스털링 프랜시스 클라크 미술관에 전시되어 있는 그림입니다. 제가 여행가서 본 그림은 아닙니다. 제주도에 있는 그리스 로마관이라는 곳에 놀러갔다가 전시되어 있는 복사판 그림을 봤습니다. 

제주도의 그리스 로마관에서 이것 저것 감상하고 있는데, 이 그림은 저의 눈길을 붙들었습니다. 이 그림이 저의 관심을 끈 이유는 뻔합니다. 초등학생 자식이 둘이나 있는 40대 젊잖은 남자이지만, 아직 남성으로써 혈기가 왕성한가 봅니다. 아직도 나체의 아름다운 여인들의 그림을 보면 눈길이 훽 돌아가곤 합니다. 저는 이런 저 자신을 볼 때 쪽팔리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건강한 남자라는 생각에 뿌듯하기도 합니다.  

저는 옆에 있는 와이프 눈치가 보여서인지 고상하게 얘기했습니다. 
"참 이그림을 보니, 중세 때나 지금이나 여자들 얼굴에 대한 기준이 달라진 것 같지는 않다."
그 말에 대한 와이프의 대답은 걸작이었습니다. 
"왜. 요렇게 예쁜 아가씨가 머리잡아당겨주면서 유혹하면 좋겠나보지?"

울 와이프 정말 대단한 사람입니다. 제 마음을 꽤뜷고 있습니다. 정신과 의사인 저보다 제 마음을 훨씬 더 직관력있게 이해하고 있습니다.

사티로스(Satyrs)는 다른 이름으로 판(Pan)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불안장애의 일종인 공황장애를 Panic disorder 라고 합니다. 판의 이름을 따서 질환명을 붙인 것입니다. 사티로스가 낮잠을 자고 있다가 방해를 받으면 엄청난 소리로 부르짖는데, 그 소리에 놀라서 깜짝 놀라는 증상과 같다고 해서, 공황장애를 Panic disorder 라고 이름붙였다고 합니다. 

여기서 공황장애 얘기를 잠시 했으면 합니다. 동물이나 인간은 생명에 위급한 상황이 되면 싸우거나 도망쳐야 (fight or flight)합니다. 도망치거나 싸우기 위해서는 교감신경이 한꺼번에 활성화되어야 합니다. 그 때 가슴은 두근거리고, 긴장이 되며, 식은땀이 나기도 하고, 머리카락이 쭈빗 서기도 합니다. 생명에 위급한 상황이 되었을 때 이런 반응이 나타나야 싸우거나 도망치기 쉽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뭔가 고장이 나서, 생명에 위급한 상황이 아닌 아무 때나 이런 반응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공황장애라고 합니다. 

심리학적으로 공황장애의 근본적인 원인은 분리 불안에 있습니다. 분리 불안은 어린 아이가 어머니와 떨어질 때 느끼는 불안입니다. 분리 불안이 심해지면 초등학생이 학교를 안가겠다고 우기는 학교 거부증이 나타납니다. 학교가 있는 시간 동안 "비록 어머니가 내 눈 앞에 안보이지만, 집에 돌아가면 언제든지 나를 기다리고 있을거야." 하고 확신을 가진 아이들은 분리 불안이 안생깁니다. "내가 안보는 사이 어머니가 어디론가 사라질까" 두려워 하는 마음이 분리 불안입니다. 

분리 불안은 인간의 가장 원초적 불안입니다. 성경에서 아담과 하와는 금지된 열매를 따 먹고 에덴동산에서 쫒겨났습니다. "에덴동산에서 분리되었다"는 것은 "창조주로부터 분리되었다"는 것을 상징합니다. 신으로부터의 분리, 부모님으로부터의 분리가 불안의 근본 원인이라는 것을 잘 상징하는 이야기인 듯 합니다. 

직장인들은 항상 분리 불안을 느끼고 살아갑니다. 직장에서 쫒겨날까 두렵습니다. 저 역시 회사 생활을 할 때 상사의 눈에 들고 인정받고자 밤 늦게까지 퇴근을 미루고 몸을 던져 일을 했습니다. 인정받고자 하는 마음 때문이었지만, 그 마음의 깊숙한 곳에는 분리불안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상사에게 한소리 들으면 한 일주일 의기소침해지고, 칭찬 한번 받으면 한 일주일 기분이 좋았습니다. 그리고 인정받는 재미에 밤늦게 가정 생활 반납하고 일하는 생활을 힘든줄 모르고 지냈습니다. 그런데 그 곳을 나오고 나서 보니 그 곳은 넓고 넓은 세상 중에 일부인 쬐그마한 사회일 뿐이었습니다. 

분리 불안 때문이었습니다. 분리 불안은 우리를 목적없이 일하게 만들곤 합니다. 회사를 나오는 것이 답이라는 뜻이 아닙니다. 내가 학교에 가 있더라도 부모님은 나를 버리고 떠나지 않듯이, 내가 지킬 것은 지키면서 의연하게 일하더라도 직장은 나를 버리지 않는다는 것을 알았으면 합니다. 어쩜 그런 분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일 수도 있습니다. 

http://www.clarkart.edu/Collection/6158


댓글 없음:

댓글 쓰기